동학적 사고로 신학하기

고정 헤더 영역

글 제목

메뉴 레이어

동학적 사고로 신학하기

메뉴 리스트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분류 전체보기 (34)
    • 윤정현글 (0)
    • 소다석일지 (5)
    • 다석사상 (6)
    • 동양사상 (0)
    • 기타일반 (18)
    • 다석강의 (5)

검색 레이어

동학적 사고로 신학하기

검색 영역

컨텐츠 검색

천부경

  • 천부경 풀이

    2023.02.15 by 그러함

  • 다석의 천부경 풀이의 변화과정

    2023.02.15 by 그러함

천부경 풀이

우리나라 한 사상의 뿌리라고 일컬어지는 천부경(天符經)은 역경(易經)이나 태극도설(太極圖說)처럼 이 세상과 우주의 원리를 말하고 있다. 천부경을 제대로 알아야 주역(周易)을 올바로 이해할 수 있고, 천부경과 주역을 이해해야 성경을 참으로 알 수 있다고 생각한 다석은 천부경을 순 우리말로 옮겼는데, 참으로 독특하다. “하나 비롯 없는 비롯 하나(一始無始一), 풀어 셋 가장, 못다할 밑둥(析三極無盡本), 하늘 하나 한(天一一), 땅 하나 맞둘(地一二), 사람 하나 세웃(人一三), 하나 그득, 밑썰 되, 다함 없이 된 셋(一積十鉅無櫃化三), 하늘 맞섯(天二三), 땅 맞섯(地二三), 사람 맞섯(人二三), 한셋 맞둔, 여섯스니 일곱 여덟 아홉 생기다(大三合六生七八九). 옮기어 셋 네모로 쳐이룬 고리, 다섯 일곱 ..

다석사상 2023. 2. 15. 16:26

다석의 천부경 풀이의 변화과정

다석의 천부경 풀이의 변화과정 다석 유영모 선생이 천부경을 풀이하기 시작한 것은 대전 대사동 성진원에 살던 조용승님이 천부경을 부쳐주어서이다. 그 해 1963년 12월 21일 다석은 순우리말로 천부경을 풀이한 것을 대전에서 올라온 한요한씨에게 보여주었다(사진 1). 여기에서 천부경을 '한 늘 어음찍 월'으로 번역하기 시작하여 첫 줄을 '한 비롯: 없는 비롯 • 하나! 풀자니, 셋:, 가장 다 못 함! 밑둥여' 라고 하였다. 4일 후인 12월 25이 성탄절에는 '한 비롯: 없는 비롯: 하나! 셋 풀자니, 가장다 못함! 밑둥.' 이라고 고쳐 풀이를 마쳤다(사진 2). 1964년 1월 26일에는 천부경을 '한울 댛읾쪽 실줄'로 고쳐 쓴다. '한 비롯: 없는 비롯 • 하나! 풀자니, 셋:, 가장 다 못 함! 밑..

소다석일지 2023. 2. 15. 15:57

추가 정보

인기글

최신글

페이징

이전
1
다음
TISTORY
동학적 사고로 신학하기 © Magazine Lab
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

티스토리툴바